총물품의 길이 x 높이 x 너비를 대략적으로 알아야 합니다. 이를 화물 차량 제원과 비교하여 선택합니다.
차량 제원과 비교했을 때 어중간하면, 가장 근접한 차량으로 선택 후 운송사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전달합니다.
똑같은 차량이지만 형태에 따라서 제원이 달라지며, 5톤 이상은 장축 옵션에 따라 적재 가능 무게도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는 박스 혹은 파렛트 이용을 함에 따라서 전체 공간 측정이 용이합니다.
박스의 경우에는 우체국 박스를 기준으로 몇 개 정도인지 측정하면 되고,
파렛트의 경우에는 파렛트 몇 개, 높이 얼마 정도로 측정하면 됩니다.
물품의 총규격은 정확하게 알 필요는 없으며, 포장 단위를 활용하여 운송사에 전달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물론 미리 어떤 차량이 필요한지 예측하면 정확한 접수와 비용이 나오겠죠?)
센디에서는 [화물 차량 적재 가이드]를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화물 차량에 대한 제원을 정리한 내용이며,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단, 해당 내용은 일반적인 차량 제원에 대한 내용이며 같은 톤 수의 차량이라도 길이가 더 긴 차량도 있고 5톤 이상의 차량에는 장축 옵션으로 인해 더 많은 무게를 싣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으로 참고하시어 운송을 접수하고, 운송사의 안내에 따라 더 효율적인 차량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불필요하게 큰 차량으로 접수하면 가격은 높아집니다!)
먼저, 차량 적재함 제원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화물 차량 적재 재원이라 할 때, 적재함과 지붕에 대해 그림으로 보니 쉽죠?
이때, 차량 운전석 위 또는 적재함 바깥으로 물품이 튀어나오도록 싣는 것은 교통안전상의 문제로 운송이 불가합니다.
또한, 화물 차량은 권장 적재 무게의 10%까지 최대 적재가 가능합니다 :D
다마스 차량은 총 1,600mm 길이 / 1,100mm 넓이 / 1,920mm 높이 / 0.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라보 차량은 총 1,900mm 길이 / 1,300mm 넓이 / 1,800mm 높이 / 0.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1톤 트럭 카고 형태는 총 2,700mm 길이 / 1,600mm 넓이 / 2,000mm 높이 / 1.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 카고 형태는 화물 차량의 기본 형태이며 적재함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1톤 트럭 호루 형태는 총 2,700mm 길이 / 1,600mm 넓이 / 2,300 ~ 2,600mm 높이 / 1.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 호루 형태는 적재함이 천막 형태로 덮여있는 형태입니다.
1톤 트럭 탑 형태는 총 2,700mm 길이 / 1,600mm 넓이 / 2,300 ~ 2,600mm 높이 / 1.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 탑 형태는 적재함이 완전히 막혀있는 형태입니다.
1톤 트럭 윙바디 형태는 총 2,700mm 길이 / 1,600mm 넓이 / 1,700mm 높이 / 1.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 윙바디 형태는 적재함이 막혀있으면서 양 옆으로 적재함이 열리는 형태입니다.
1톤 트럭 냉장/냉동 형태는 총 2,700mm 길이 / 1,600mm 넓이 / 1,500mm 높이 / 1.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 냉장/냉동 형태는 적재함이 저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 형태입니다.
1톤 트럭 리프트 형태는 총 2,700mm 길이 / 1,600mm 넓이 / 2,000mm 높이 / 1.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 리프트 형태는 500kg 이하의 물품을 적재함으로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형태입니다.
1.4톤 트럭은 최대 3,300mm 길이 / 1,600mm 넓이 / 2,000mm 높이 / 1.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1.4톤 탑 형태는 최대 3,300mm 길이 / 1,600mm 넓이 / 1,700mm 높이 / 1.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1.4톤 윙바디 형태는 최대 3,300mm 길이 / 1,600mm 넓이 / 1,700mm 높이 / 1.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2.5톤 트럭은 총 4,300mm 길이 / 1,900mm 넓이 / 2,000mm 높이 / 2.7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2.5톤 탑 형태는 총 4,300mm 길이 / 1,900mm 넓이 / 1,800mm 높이 / 2.75t까지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2.5톤 윙바디 형태는 총 4,300mm 길이 / 2,100mm 넓이 / 2,000mm 높이 / 2.7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2.5톤 냉장/냉동 형태는 총 4,300mm 길이 / 1,900mm 넓이 / 1,800mm 높이 / 2.7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3.5톤 트럭은 총 4,800mm 길이 / 2,000mm 넓이 / 2,000mm 높이 / 3.8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3.5톤 탑 형태는 총 4,800mm 길이 / 2,000mm 넓이 / 1,800mm 높이 / 3.8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3.5톤 윙바디 형태는 총 5,000mm 길이 / 2,100mm 넓이 / 2,000mm 높이 / 3.8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3.5톤 냉장/냉동 형태는 총 4,800mm 길이 / 2,000mm 넓이 / 1,800mm 높이 / 3.8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 광폭 차량은 일반 차량보다 조금 더 넓은 형태입니다.
5톤 트럭은 총 6,200mm 길이 / 2,340mm 넓이 / 2,400mm 높이 / 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5톤 탑 형태는 총 6,200mm 길이 / 2,340mm 넓이 / 2,400mm 높이 / 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5톤 윙바디 형태는 총 6,200mm 길이 / 2,340mm 넓이 / 2,400mm 높이 / 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5톤 냉장/냉동 형태는 총 6,200mm 길이 / 2,340mm 넓이 / 2,200mm 높이 / 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5톤 플러스 트럭은 총 7,500mm 길이 / 2,340mm 넓이 / 2,500mm 높이 / 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5톤 플러스 탑 형태는 총 7,500mm 길이 / 2,340mm 넓이 / 2,400mm 높이 / 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5톤 플러스 윙바디 형태는 총 7,500mm 길이 / 2,340mm 넓이 / 2,400mm 높이 / 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5톤 플러스 냉장/냉동 형태는 총 7,500mm 길이 / 2,340mm 넓이 / 2,200mm 높이 / 5.5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8톤 트럭은 총 8,300mm 길이 / 2,340mm 넓이 / 2,500mm 높이 / 8.8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8톤 윙바디 형태는 총 8,300mm 길이 / 2,340mm 넓이 / 2,400mm 높이 / 8.8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8톤 냉장/냉동 형태는 총 8,300mm 길이 / 2,340mm 넓이 / 2,200mm 높이 / 8.8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 8톤 탑차 형태는 시중에 흔치 않습니다
11톤 트럭은 총 9,100mm 길이 / 2,340mm 넓이 / 2,500mm 높이 / 12.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11톤 탑차 형태는 총 9,100mm 길이 / 2,340mm 넓이 / 2,500mm 높이 / 12.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11톤 윙바디 형태는 총 9,100mm 길이 / 2,340mm 넓이 / 2,500mm 높이 / 12.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11톤 냉장/냉동 형태는 총 9,100mm 길이 / 2,340mm 넓이 / 2,200mm 높이 / 12.1t까지의 물품을 실을 수 있습니다.
센디는 운송 접수 건에 대해서 검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객님들께서 선택하신 차량이 알맞지 않은 경우에는 설명과 함께 어떤 차량으로 변경해야 하는지도 말씀드리고 있습니다(혹은 고객님들께서 먼저 문의를 주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업 운송은 거래와 직결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차량을 선택해야 합니다.
불필요하게 큰 차량이나 물품을 실을 수 없는 차량 선택은 기업의 리소스 비용과 운영 비용을 소모하게 만듭니다.
[센디 서비스] 화물 차량, 옵션이 무엇인가 (3) | 2024.09.03 |
---|---|
[센디 서비스] 화물 운송 요금, 그것이 궁금하다 (0) | 2024.08.30 |
[센디 서비스 ] B2B 운송, 미들마일과 간선물류 중요성 (2) | 2024.08.30 |
[센디 서비스] 물류센터 입출고 추가 비용 없이 운송하기 (0) | 2024.08.29 |
[센디 서비스] 물류 부서 인건비와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 (0) | 2024.08.28 |